본문 바로가기
관심

교육심리학8.창의성을 촉진하는 사고기법

by ekdlwp 2021. 4. 7.

 

창의성의 특성

창의성은 교육에 의해 길러지는 특성일까요? 답은 예스입니다. 창조성에 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므로, 연수나 교육을 통해서 창조성이 발휘되고 있다. 그것이 가능할지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TORANCE 1959 )는 히어로입니다. 개발 연구에 관한 142편의 논문을 리뷰한 결과 100편이 넘는 논문이 창의적이다.
모든 사람의 창의성은 충분히 교육받고 있으며 수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그것은 받아들일 수 있는 보편적인 능력으로 강조되고 있다. 창의성 개발을 위한 기법은 1954년 Osbom의 '상상하기(Apoclied imagination)를 통해 처음으로 제시된 이래 교육현장뿐 아니라 산업체나 기업제를 위힌 어러 가지 창의적 사고기법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창의성을 촉진하는 방법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은 여러 사람이 함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생각을 하는 아이디어다. 본 법은 Oslbom에 의해 제시되었으며, 창의적인 기법이 적절하다. 잘 아시다시피 대뇌 폭풍은 대뇌의 브레인, 폭풍을 말합니다. 이는 'storming'이라는 용어를 결합한 것으로, 말 그대로 '뇌졸중 폭풍'이라는 뜻이다. 제한된 시간 동안 더 많은 두뇌 회전이 필요하다.

단체 토론에 참가한 결과를 참가자들이 공유하다 그런 다음 평가를 하고 가장 두드러진 해결사를 선정합니다. 브레인스토밍의 아이디어"우둔하고 자유로운 것은 새롭다. 주어진 주제에 국한하지 않고 하나를 허용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사상과 자유로운 연상에 젖는 물건 최대한으로. 즉, 창의성은 자유로운 분에 있다. 더 좋은 뜻으로 에워싸다. 그러므로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켜라.
• 제안된 아이디어를 비판하거나 평가하지 않고 어떤 생각이라도 받아들이겠다. 아이디어는 많을수록 좋다.
• 이미 제시한 아이디어에서 끌어내려 하기 그는 창의적이다.
브레인스토밍은 참가자의 유연성을 배양하는데 도움이 된다. 융통성은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배려하는 과정을 통 해사 회관계 능력을 도울 수 있다.

색다른 사용법

별종의 사용 방법은 원물의 용도 이외의 다른 사용 방법이다. 확산적 사고방법으로 포함의 창의성 검사에서 많다. 이 방법은 학생들에게 무언가를 제시하는 것이다. 만약 이 동이 서쪽에서 다르게 쓰면 이게 무슨 용도로 처음 사용했는지 생각해보았을 때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연필이나 옷걸이 등에서 제시하는 참여자의 취미와사고 촉진을 위해 꼭두각시 등을 이용해 이야기를 통해 들여오기도 한다. 남다른 사용법이 있는 기간 동안 참여자들은 스스로 할 수 있다 자기의 생각을 시종일관하게 표현하다.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었고, 남들이 상상할 수 없는 독특한 생각을 만들었습니다. 법령을 해내도록 격려해 주겠다.

 -마인드맵

마인드맵은 중요한 사실이나 개념을 터득한 성보들이 쓴 시다 기호나 문자 혹은 그림으로 어떻게 관련되는지, 여러 가지 색깔과 같이 표시한다. 자기 도장을 이용하면 학습의 파지 효과와 사고 기교의 연상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이것은 기법이다. 이 방법은 영국 심리학자 토니 부산이 개발한 사고법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지도는 사상 망이라고도 하는데, 우리가 생각나는 것은 무엇인가? 종이에 적들이 쳐놓은 것에서 발전한 개인 브레인스토밍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인드맵은 문제에 대해 머릿속에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방사형으로 자른다. 한 아이가 키워드, 이미지, 킬러, 기호, 상징 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딜은 어떤 주제의 실마리로부터 출발하여, 여러 가지 방향이나 발전 경로의 진신을 거쳐간다. 하나의 생각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전제가 있다. 종이의 중앙에 마인드맵 하고자 하는 주제의 이미지를 그린다. 이때 주제는 구체적인 것일수록 실행에 옮기기 좋다. 중심 이미지와 연결해서 굵게 시작하고, 가지가 뻗어 나갈수록 점점 가늘게 그린다. 각각의 가지 위에 낱말, 그림, 상징 기호 등을 표현하되 언어는 되도록 단어로 적는다.

주가지 끝에서 연결하여 부 가지를 그리는데 주가 지보다 자세하게 실전 가능 한내용을 적는다. 가능하면 이미지를 많이 사용하도록 하고, 가지마다 다른 색의 색상을 사용한다. 가지의 수는 제한을 두지 않고 중요한 내용들은 가지를 통해 뻗어 나가게 한다. 가지를 뻗어 그릴 땐 생각나는 대로 적는 것이 아니라 하위 항목과 상위 항목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관련성을 찾아 적도록 하며, 같은 가지는 되도록 같은 색으로 표현한다.

-6가지 사고모

인간의 사고방식을 6개의 모자에 비유하는 6가지 사고방식(six thinking hais) 서로 다른 색깔의 모자를 쓰고, 모자 색깔을 의미하는 유형적 사고를 한다. 새로운 아이디어나 아이디어 구상 등에 활용하는 사고기법이다. 여기 모자 색깔
생각을 바꾸기 위한 모자의 색깔은 상징적이다.
6가지 사고 모의 목적은 참가자들이 고의로 일으킨 사고 분위기에서 장르적 사고를 의도한 경험을 통해 친구는 사고방식에서 어물쩍 넘어가기 위해 평소에 하지 못했던 사고를 표현하기 위해 고생은 다양한 사고를 촉진하는 데 있다.

6가지 사고 모의 활동방법은 6명을 한 조로 구성하고 6가지 색깔의 모자 또는 목걸이를 한 색깔당 한 명에게 나누어 주고 어떤 유형의 사고를 해야 하는지 설명해 준다.

-SCAMPER

미국 교육행정가 밥 에이블은 1971년 창의력 증진 기술을 발명해 창의적 사고를 유도하고 신제품, 서비스 또는 프로그램 창출을 돕는 발상 도구다. 스캠퍼 기법은 새로운 것이 기존의 것에서부터 시작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즉, 첨가·삭제·변형을 통해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다. 스캠퍼(SCAMPER)는 관점의 결합 수정 변형 등과 관련된 단어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용어다. 신제품 기획, 공정 혁신, 전략 수립 등 기업 활동의 다양한 분야에서 수평적 사고의 출발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체(Substitute), 결합(Combine), 조절(Adjust), 변형, 확대, 축소(Modify, Magnify, Minify), 용도변경(Put to other uses), 제거(Eliminate), 역발상, 재정리(Reverse, Rearrange)등이 있다.

대치


기존의 대상을 다른 대상으로 바꾸면 어떻게 되느냐는 질문이다. 예를 들어 기존의 A 대신 원자재를 B로 사용하는 것은 어떻고 제조 과정에서 기존 방식 대신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어떻고, 시간대를 바꾸는 것은 어떠냐는 질문과 고민을 해본다.

결합하기

두 가지 이상의 것을 합치게 되면 어떠할지에 대해 질문해보는 것이다. 즉, 결합을 통해 가치 있는 새로운 조합이 만들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다.

조절하기
특정 대상을 다른 조건이나 목적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지를 물어보는 것이다. A를 B에만 쓰는 것이 아니라 C에도 쓰면 어떨까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찍찍이라고 불리는 벨크로는 식물의 씨앗이 의류에 쉽게 부착되는 원리로 만들어진 제품이다.
변형, 확대, 축소하다.
특정 대상의 색깔 모양 소리 특성 등을 바꾸거나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지를 물어보는 것이다. 노트북이나 초소형 카메라는 기존 제품 형태가 축소된 대표적인 사례다.
용도변경
특정 대상을 현재의 용도가 아닌 새로운 용도로 바꿀 수 있는지를 질문해 보는 것이다. 현재의 용도에 만족하지 않고 혁신적인 다른 용도로 사용될 가능성을 찾는 것이다. 피부미용을 위해 쓰이는 진흙의 경우 용도변경이 적용된 결과다.
삭제하다
특정 대상의 구성요소나 기능 중 일부를 제거하면 어떤가를 물어보는 것이다. 평소 불편했던 부분을 찾아내 제거함으로써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무선 전화기나 오픈카는 제거하는 것의 대표적인 예가 된다.
역발상·재정리
특정 대상의 순서나 형식, 구성 등을 바꾸거나 재배열하면 어떻게 되는지를 물어보는 것이다. 즉, AB를 BA로 바꾸면 어떨까 생각해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양문형 냉장고는 기존 세로였던 냉장고 문의 위치가 가로로 바뀌어 나온 제품이다.

'관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심리학10.행동주의이론  (0) 2021.04.08
교육심리학9.자폐아  (0) 2021.04.08
교육심리학7.창의성의 측정과 판별  (0) 2021.04.05
교육심리학6.창의성  (0) 2021.04.02
교육심리학5.도덕성  (0) 2021.04.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