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0

중성미자 와 노벨상 2000년대에 들어갔을 무렵, 일본 도쿄대의 카지타 타카아키 교수는, 일본의 대형 체렌코프 우주 소립자 관측 장치 「슈퍼가미오칸데」를 통해서, 지구의 대기권에서 뉴트리노가 뮤온과 전자의 두 개의 상태 사이에서 변환되고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 시기, 아서·맥도날드 캐나다 퀸즈 대학 명예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태양으로부터 날아 온 중성미자가 지구로부터 사라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중성미자는 지구에 도달했을 때 소멸하지 않고 캐나다의 서드버리 중성미자 관측소에서 다른 상태로 변환된 채 검출되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물리학자들이, 수십년간 격투해 온 뉴트리노를 둘러싼 퍼즐이, 풀리는 것입니다. 이론적으로 계산한 뉴트리노 수와 실제로 지구에서 관측된 뉴트리노 수를 비교한 결과, 뉴트리노는 전체의 .. 2021. 9. 13.
태양 자기장과 태양의 회전속도 태양은 질량의 98%가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요. 중심핵에서는 수소의 원자핵과 전자가 초고온 환경에서 분리된 플라즈마 상태에서 원자핵끼리 융합하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열에너지가 생성됩니다. 과학자들은 태양 플라즈마가 표면에서 서서히 소용돌이치며 움직이는 현상을 관측해 플라즈마의 움직임으로 태양 내부의 자기장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측해 왔습니다. 태양의 자기장은 태양풍을 유발하여 지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플라즈마의 움직임이 어떻게 생겨났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회 태양계연구소(MPS)와 독일 괴팅겐대 연구진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활동관측위성(SDO)이 수집한 10년치 데이터를 분석해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태양 표면에서 플라즈마가 어떻게 느린 속도의.. 2021. 9. 13.
수성보다 가까운 태양에 근접한 소행성 과 탐사선 태양계에서 가장 안쪽에 있는 행성인 수성보다 태양에 더 근접하는 소행성이 관측되었습니다. 지름이 1킬로 정도인 이 소행성은 태양에 약 2천만 킬로까지 접근합니다. 이는 수성 근일점 4600만 km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거리입니다. 타원형 궤도에서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113일로 수성(88일)보다 깁니다. 미국 국립광학적외선 천문학 연구실(NOIR Lab)에 따르면 '2021 PH27'로 명명된 이 소행성은 카네기 과학연구소의 스콧 셰퍼드 교수가 칠레 '세로트로 범아메리카 천문대'(CTIO)의 직경 4m 빅터 M. 그네 망원경에 장착된 암흑에너지 카메라(DECam)로 수집한 자료에서 발견했습니다. 우주를 가속 팽창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암흑 에너지 연구를 위해 개발된 DECam은 570메가.. 2021. 9. 12.
원시블랙홀 찾을수 있을까 원시 블랙홀은 우주 초기에 생성되었을 수도 있는 블랙홀입니다. 밀도가 높고 비균질적인 초기 우주에서 특히 밀도 높은 영역이 직접 수축하여 블랙홀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고 젤드 비치와 노비콥이 1966년에 처음 제안했습니다. 호킹은 1971년 별의 진화로 만들어지는 일반적인 블랙홀보다 훨씬 작고 가벼운 블랙홀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천문학 관측을 통해 확인된 블랙홀은 별의 진화 과정에서 생기는 별 질량 블랙홀과 생성과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은하 중심부에 많이 존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입니다. 최근 이 별질량 블랙홀보다는 무겁고, 초대질량 블랙홀보다는 가벼운 중간질량 블랙홀도 존재합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이들 블랙홀에 비해 원시블랙홀은 아직 아무런 관측.. 2021. 9. 12.